세계 시장에서 금값 상승세가
페이지 정보

본문
세계 시장에서 금값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남미발(發) 금 밀거래 규모가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.페루경제연구소(Instituto Peruano de Economia)는 남미 금광 일대 대기 중 중금속 배출량 데이터와 남미 광업 당국 자료 등 분석을 토대로 올해 역내 불법 금 수출액 규모를 120억 달러(16조8천억원 상당)로 추산했다고 17일(현지시간) 밝혔다.연구소는 최근 공개한 보도자료에서 "금값 상승분 등을 반영할 때 남미에서의 금 밀수출 액수는 2024년보다 60% 이상 늘 것으로 보고 있다"며 "이는 사상 최고치"라고 설명했다.금값은 글로벌 경제 성장에 대한 우려, 미국 달러화를 대체하는 안전자산 투자 심리, 중국에서의 강한 수요에 등에 힘입어 지난해 하반기부터 오름세를 보인다.이는 불법 금 생산도 부추겼는데, 새로운 금 채굴업자들이 폭력 세력과 결탁해 생산 체인에 진입하고 새로운 거래지 탐색에 나서도록 유도했다고 페루경제연구소는 짚었다.연구소는 "2024년 3분기 기준 금 평균 가격은 2023년 같은 기간 대비 29% 올랐는데, 페루에서는 이 시기 신규 금 거래·가공업체 등록 건수가 2배 증가했다"며 "당국의 관리 감독이 느슨한 것도 한 원인으로 볼 수 있다"고 부연했다.페루는 콜롬비아·볼리비아 등과 함께 남미 불법 금 채굴 중심지로 꼽힌다. 이들 3개 나라는 남미 전체 불법 금 생산의 80%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페루경제연구소는 보고 있다.불법 금 채굴업자들은 무장세력과 연계된 경우가 많은데, 이 여파로 합법 노동자와 지역 주민을 향한 위협도 커지는 상황이다.실제 최근 페루에서는 범죄 조직원들로 추정되는 이들의 공격으로 금광 보안요원 13명이 참혹하게 피살되기도 했다.대부분 아마존 열대우림에 있는 불법 금 채굴지의 환경 오염 문제도 지적된다.불법 무허가 업체들이 흙에서 금을 분리하기 위해 수은을 무분별하게 사용하는데, 찌꺼기를 그대로 강물에 흘려보내거나 토양에 방치하고 있다는 것이다.삼림 파괴도 빨라지고 있다.안데스 아마존모니터링프로젝트(MAAP)는 "2018년 기준 97만㏊(9천700㎢)였던 광산 활동 관련 누적 산림 벌채 면적은 6년 만인 2024년에 200만㏊(2만㎢)를 넘어 섰다"고 밝혔다. 이는 서울 면적(605㎢)의 33배 수준이다.(사진=연합뉴스)세계 시장에서 금값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남미발(發) 금 밀거래 규모가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.페루경제연구소(Instituto Peruano de Economia)는 남미 금광 일대 대기 중 중금속 배출량 데이터와 남미 광업 당국 자료 등 분석을 토대로 올해 역내 불법 금 수출액 규모를 120억 달러(16조8천억원 상당)로 추산했다고 17일(현지시간) 밝혔다.연구소는 최근 공개한 보도자료에서 "금값 상승분 등을 반영할 때 남미에서의 금 밀수출 액수는 2024년보다 60% 이상 늘 것으로 보고 있다"며 "이는 사상 최고치"라고 설명했다.금값은 글로벌 경제 성장에 대한 우려, 미국 달러화를 대체하는 안전자산 투자 심리, 중국에서의 강한 수요에 등에 힘입어 지난해 하반기부터 오름세를 보인다.이는 불법 금 생산도 부추겼는데, 새로운 금 채굴업자들이 폭력 세력과 결탁해 생산 체인에 진입하고 새로운 거래지 탐색에 나서도록 유도했다고 페루경제연구소는 짚었다.연구소는 "2024년 3분기 기준 금 평균 가격은 2023년 같은 기간 대비 29% 올랐는데, 페루에서는 이 시기 신규 금 거래·가공업체 등록 건수가 2배 증가했다"며 "당국의 관리 감독이 느슨한 것도 한 원인으로 볼 수 있다"고 부연했다.페루는 콜롬비아·볼리비아 등과 함께 남미 불법 금 채굴 중심지로 꼽힌다. 이들 3개 나라는 남미 전체 불법 금 생산의 80%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페루경제연구소는 보고 있다.불법 금 채굴업자들은 무장세력과 연계된 경우가 많은데, 이 여파로 합법 노동자와 지역 주민을 향한 위협도 커지는 상황이다.실제 최근 페루에서는 범죄 조직원들로 추정되는 이들의 공격으로 금광 보안요원 13명이 참혹하게 피살되기도 했다.대부분 아마존 열대우림에 있는 불법 금 채굴지의 환경 오염 문제도 지적된다.불법 무허가 업체들이 흙에서 금을 분리하기 위해 수은을 무분별하게 사용하는데, 찌꺼기를 그대로 강물에 흘려보내거나 토양에 방치하고 있다는 것이다.삼림 파괴도 빨라지고 있다.안데스 아마존모니터링프로젝트(MAAP)는 "2018년 기준 97만㏊(9천700㎢)였던 광산 활동 관련 누적 산림 벌채 면적은 6년 만인 2024년에 200만㏊(2만㎢)를 넘어 섰다"고 밝혔다. 이는 서울 면적(605㎢)의 33배 수준이다.(사진=연합뉴스)
- 이전글독서의 매력: 지식과 상상력의 세계 25.05.18
- 다음글민주, 금융 정책·감독 분리 25.05.18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